Do you love Me?

John 21:17

© gift_habeshaw, 출처 Unsplash

Peter's response to this piercing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bold defiance he exhibited only a few days before when he declared, "Even if I have to die with You, I will not deny You!" (Matthew 26:35; also see Matthew 26:33-34).

Our natural individuality, or our natural self, boldly speaks out and declares its feelings. But the true love within our inner spiritual self can be discovered only by experiencing the hurt of this question of Jesus Christ. Peter loved Jesus in the way any natural man loves a good person. Yet that is nothing but emotional love. It may reach deeply into our natural self, but it never penetrates to the spirit of a person.

True love never simply declares it self.

Jesus said, "Whoever confesses Me before men [that is, confesses his love by everything he does, not merely by his words], him the Son of Man also will confess before the angels of God(Luke 12:8).

 

unless we are experiencing the hurt of facing every deception about ourselves, we have hidered the work of the Word of God in our lives.

 

The Word of God inflicts hurt on us more than sin ever could,

because sin dulls our senses.

But

this question of the Lord intensifies our sensitivities to the point that this hurt produced by Jesus is the most exquisite pain conceivable.

It hurts not only on the natural level, but also on the deeper spiritual level. "For the Word of God is living and powerful . . .,piercing even to the division of soul and spirit . . ." - to the point that no deception can remain (Hebrews 4:12). When the Lord asks us this question,

it is impossible to think and respond properly, because when the Lord speaks directly to us, the pain is too intense. It cuases such a tremendous hurt that any part of our life which may be out of line with His will can feel the pain.

There is never any mistaking the pain of the Lord's Word

by His children,

but

the moment that pain is felt is the very moment at

which God reveals His truth to us.

© Alexas_Fotos, 출처 Pixabay

베드로는 더이상 며칠전

"내가 주님과 함께 죽을지언정 주님을 배신하지 않겠습니다"

라고 호언장담했던 때와 매우 다르다.

인격적인 사랑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뼈 아픈 질문에 의해서 발견된다. 베드로는 일반 자연인들이 훌륭한 사람을 사랑하는 그러한 차원에서 예수님을 사랑했다. 이러한 사랑은 기질적인 사랑으로서 개별성까지 깊게 닿을 수 있지만 인격의 중심부까지는 닿지 못한다. 개별성은 독자성 또는 독립성과 연결된다. (역자가"개성"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개별성"이라고 쓴 이유는 개성은 개발될 수 있는 것이지만 개별성은 타고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인격의 중심부 또는 인격적인 본성, 또는 인격성은 다른 피조물과 구별되어 오직 인간에게만 부여된 특성을 말한다. 이 단어는 영혼 또는 인격과 대체될 수 있는 단어지만 한글 "인격"이라는 단어는 성품과 혼동될 수 있기에 역자는 인격성 또는 인격적인 본성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죄성과는 무관한 것으로서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속성을 의미한다.)

참된 사랑은 결코 호언하지 않는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길, "사람 앞에서 나를 시인하는 자마다 . . ."라고 하셨는데, 이는 말로만 사랑을 고백하지 말고 모든 행위로 고백하라는 뜻이다.

 

자신의 비열함에 대해 아파한 적이 없다면

아직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에게 역사하지 않은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은 죄가 주는 그 어떤 아픔보다 우리를 더 아프게 한다.

오히려 죄는 감각을 무디게 하기 때문에 점점 아픔이 줄어든다.

 

주님의 질문은 우리의 감정을 더욱 예민하게 하여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우리를 아프게 한다.

주님의 말씀은 양심적인 차원 뿐만 아니라 가장 깊은 인격적 차원까지 우리를 아프게 한다.

주님의 말씀은 심지어 혼과 영을 찔러 쪼개기까지 하므로 거짓이란 있을 곳이 없다.

그러므로 주님의 질문을 감상적으로 받을 가능성은 없다.

주님께서 직접 말씀 하실 때는 그 아픔이 너무나 커서 당신은 멋진 말을 할 수 없다. 그 아픔이 너무 커서, 주님의 말씀에 합당하지 않은 모든 것들은 고통을 당한다.

 

주님의 자녀에게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한 고통이 임하는 것은 결코 실수나 우연일 수 없다.

아픔의 그 순간이 사실은 위대한 계시의 순간인 것이다.

 

© congerdesign, 출처 Pixabay

 

 

+ Recent posts